금동탄생불입상 금동탄생불입상(金銅誕生佛立像. 10.5cm) 이 불상은 9개의 연꽃잎으로 에워싸인 둥근 대좌 위에 아기 부처가 서 있는 탄생불이다. 아기 부처는 상반신을 벗었으며 허리 아래로는 천으로 몸을 가렸다. 탄생불은 불상 중에서도 매우 귀한 형태인데, 오른손은 하늘을, 왼손은 땅을 가리키며 ‘천상천하유아..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경주, 황룡사지 블로거기자 변함없이 | 조회 : 8 어제 늦은 밤에 이곳 천년 서라벌에 도착했습니다. 그리고 시내어딘가 .. 아마 오릉 근처였을 것 입니다. 이불마다 쾌쾌한 냄새가 잔뜩 밴 이층집 여인숙을 잡고 그래도 싼 맛이려니 위안하며 밤새 잠을 뒤척였었지요. 그리고 시린 칼바람의 날이 아직 여전한 이른 아침..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저 혼자 서 있는 탑들 저 혼자 서 있는 탑들 - 그 천년의 침묵과 서원(誓願) 이 땅엔 탑이 참 많다. 온 나라 골짜기마다 들어앉은 절집뿐 아니라, 적지 않은 폐사터에도 한두 기의 탑이 서 있기 마련이다. 탑은 어쩌면 '부처님의 나라'를 꿈꾸었던 신라 시대 이래 이 땅의 겨레들이 부처님께 의탁한 소망과 비원(悲願)의 결정체..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누가 뭐라해도 <中央塔>이다 - 中原 塔坪里 7層石塔 우리의 정든 고향을 담고 있는 우리나라의 국토...그 형태는 어떤 모습일까요? 흔히 토끼가 서 있는 모습이라든지 또는 민화(民畵)속에 자주 등장하는 호랑이의 앞발을 든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합니다. 아무튼 우리나라의 형태는 이렇게 야생 동물로 나타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토끼나 호랑이의 ..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나도 석탑이다!- "화엄사 사자탑" 지난번에는 화엄사 '4사자삼층석탑'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4사자삼층석탑'이 화엄사의 대표적 유물이다보니 이 탑이 갖는 유명세 때문에 비슷한 형태를 갖추고 있음에도 사람들이 그냥 스쳐 지나가는 탑이 있으니 이 탑이 바로 “각황전 앞 사자탑”또는 “원통전 앞 사자탑”이라고 불리는 사자..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창덕궁 이야기 태종 5년(1405)에 이궁(離宮)으로 짓고 이름을 창덕궁이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광해군 2년(1610)에 중건하여 사용하다가, 인조반정(1623)으로 다시 불에 탔고, 인조 25년(1647) 다시 중건이 시작된 이후 크고 작은 화재와 재건축이 이어졌다. 창덕궁은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 때부터 ..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스크랩] 천연기념물 목록 식물 천연기념물은 2004년 08월 31일 현재 천연보호구역 10종을 포함하여 231종이 지정되어 보호 받고 있습니다. 번호는 441까지 이며 일련번호에서 빠진 빈 번호는 동물, 자연물 등의 다른 천연기념물이거나, 해제되어 없어진 천연기념물입니다. 번호 이 름 나이 장 소 1 달성의 측백수림 - 대구 동구 도동 .. 자료실/천연기념물 2006.07.02
흰 장삼, 붉은 가사의 승무… 우리 무형문화재들 흰 장삼, 붉은 가사의 승무… 우리 무형문화재들 2005 서울무형문화재 축제에서 선보인 살아있는 고유 문화 미디어다음 / 김지한 통신원 문화재라고 하면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을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 문화재를 박물관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음악, 무용, 연극, 놀이, 공예 기술 등 다양한 예..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일제가 할퀴고 간 성종 태실의 상처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소재 경기도 광주시 경안면 태전동 효릉을 답사한 일행은 점심 식사 후에 바로 태실 집장지를 찾았다. 철제 울타리로 쳐진 300평 남짓한 부지에는 검은색 비석 22기와 백색 비석 32기를 합하여 모두 54기가 줄을 지어 서 있다. 검은 색은 비석은 왕을 지낸 분들의 태실 표지이며, 흰..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
비운의 왕 인종이 잠든 곳 효릉[서삼릉] 효릉에는 아버지인 중종과 어머니인 영돈녕부사 윤여필(尹汝弼)의 딸인 장경왕후(章敬王后) 사이에서 태어난 인종과, 그의 비인 첨지중추부사 박용(朴墉)의 딸 인성왕후(仁聖王后)가 나란히 누워 있다. 1520년(중종 15) 세자로 책봉된 인종은 25년간 세자의 자리에 있다가 1544년 즉위하였으나 조선 왕 중.. 자료실/기타 문화유산 2006.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