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8 7

세종 이응다리(금강보행교)

2024. 05. 31. 세종 이응다리(금강보행교) 정말 볼거리 많은 베어트리에서 눈호강을 하고 우리는 세종시내 중앙공원 근처에서 쟁반짜장으로 늦은 점심을 해결하고 이번 여행의 마지막 여행지로 근처 이응다리(금강보행교)을 한번 걷고 마무리 하기로 했다.이응다리(금강보행교)는 세종시 금강에 위치한 보행교로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1446년을 기념해 1446m로 디자인한 한글 이응(ㅇ)을 닮은 다리로 국내에서 가장 긴 보행 전용 교량으로 금강을 바라보며 산책과 휴식을 취하기 좋은 장소이다.밤에 가면 야경도 멋질것 같네요.

세종 베어트리파크 3

2024. 05. 31. 세종 베어트리파크 3 베이트리파크는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동물원이 있는 수목원이다. 현재 국내에 곰과 관련된 테마파크는 이곳이 유일하다. 반달곰 150여 마리를 비롯해 사불상, 엘크, 공작, 사슴, 비단잉어 외에도 향나무가 1만 그루 이상 식재되어 있어 동물원을 겸한 수목원으로 조성되었다.베어트리파크의 규모는 33만㎡이고, 1,000여 종 40만여 점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 1,025종의 수목유전자원도 보유하고 있다. 이곳은 자연 그대로의 자연, 휴식 그대로의 휴식이 있는 곳을 조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베어트리파크는 이곳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 사시사철 꽃을 피우는 베어트리정원, 아기반달곰과 공작·꽃닭·원앙 등을 관람할 수 있는 애완동물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세종 베어트리파크 2

2024. 05. 31. 세종 베어트리파크 2 베이트리파크는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동물원이 있는 수목원이다. 현재 국내에 곰과 관련된 테마파크는 이곳이 유일하다. 반달곰 150여 마리를 비롯해 사불상, 엘크, 공작, 사슴, 비단잉어 외에도 향나무가 1만 그루 이상 식재되어 있어 동물원을 겸한 수목원으로 조성되었다.베어트리파크의 규모는 33만㎡이고, 1,000여 종 40만여 점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 1,025종의 수목유전자원도 보유하고 있다. 이곳은 자연 그대로의 자연, 휴식 그대로의 휴식이 있는 곳을 조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베어트리파크는 이곳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 사시사철 꽃을 피우는 베어트리정원, 아기반달곰과 공작·꽃닭·원앙 등을 관람할 수 있는 애완동물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세종 베어트리파크 1

2024. 05. 31. 세종 베어트리파크 1 베이트리파크는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동물원이 있는 수목원이다. 현재 국내에 곰과 관련된 테마파크는 이곳이 유일하다. 반달곰 150여 마리를 비롯해 사불상, 엘크, 공작, 사슴, 비단잉어 외에도 향나무가 1만 그루 이상 식재되어 있어 동물원을 겸한 수목원으로 조성되었다.베어트리파크의 규모는 33만㎡이고, 1,000여 종 40만여 점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 1,025종의 수목유전자원도 보유하고 있다. 이곳은 자연 그대로의 자연, 휴식 그대로의 휴식이 있는 곳을 조성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베어트리파크는 이곳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 사시사철 꽃을 피우는 베어트리정원, 아기반달곰과 공작·꽃닭·원앙 등을 관람할 수 있는 애완동물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공주 마곡사

2024. 05. 31. 공주 마곡사 아산에서 자면서 술도 한잔하고 이번 여행의 마지막밤을 즐겁게 보냈다. 오늘은 집으로 돌아 가는 길에 먼저 공주의 마곡사를 들렀다.마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640년(신라 선덕여왕 9)에 중국 당나라에서 돌아온 자장 율사가 통도사·월정사와 함께 창건한 절로 여러 차례 화재가 있었으나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중건되었다고 한다. 이 절은 임진왜란 때 대부분 소실되었다가 그뒤 1650년(효종 1) 주지인 각순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 옛 모습을 찾았으나 1782년(정조 6) 다시 큰 화재로 영산전과 대웅전을 제외한 1051여 칸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대광보전은 1788년(정조 12)에 재건되었고, 영산전과 대웅보전은 1842년(헌종 8)에 개수되어 현재에..

일본의사가 말하는 잘못된 건강상식

일본의사가 말하는 잘못된 건강상식 01. 환자는 병원의 "돈줄"이다.의료도 비즈니스이며, 그것이 의사의 생계 수단임을 알아야 한다.02.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일수록 빨리 죽는다.40여 년간 의사생활을 하면서 수많은 환자를 지켜보며 장기를 절제해도암은 낫지 않고, 항암제는 고통을 줄 뿐이다.03. 노화 현상을 질병으로 봐서는 안 된다.나이가 들면 혈관은 탄력이 떨어지고, 딱딱해지기 때문에 혈압이 조금 높아야혈액이 우리 몸 구석구석까지 잘 흘러간다. 콜레스테롤은 세포를 튼튼하게해주기 때문에, 굳이 줄이지 않는 것이 좋다.04. 혈압 130은 위험수치가 아니다.우리 몸은 나이를 먹을수록 혈압을 높이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뇌나 손과 발 구석구석에혈액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 몸 스스로 그렇게 변화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