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구 경기 규칙
◆ 경기 진행방법
1. 정의 : 피구(doge ball) - 공을 던져 상대 선수에게 맞추어 아웃시키는 게임
2. 역사 : 1900~1940년 경에 미국에서 탄생되어 이후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 보급됨
3. 인원 : 한 팀의 경기자는 12명으로 함.(한 팀의 선수는15 - 25명으로 구성)
외야에 1명 이상, 내야에 11명 이하로 경기 시작.
4. 경기 시간 – 1세트 5분, 3SET(3전 2선승제)로 함.
5. 복장(필수) - 안경 낀 사람은 스포츠 고글 착용, 무릎보호대 착용, 유니폼이나 팀조끼 착용(앞 뒤 번호 부착된 것)
6. 경기 방식
- 공은 대한피구협회 공인구 4호.
- 양팀 정렬, 인사 후 주심의 호각신호와 동시에 점프볼로 경기 시작
점프볼을 한 사람은 처음 공격할 수 없고, 공격당하지도 않음. 공이 정점에 이르기 전에 터치하거나, 두 번 터치할 수 없음. 바로 잡을 수도 없음.
- 파울의 경우 공격권이 상대팀으로 넘어감. 경고는 3세트 내 3회될 경우 퇴장.
- 아웃 된 선수는 경기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게 외야로 나가 공격을 함.
(반드시 데드 존을 통해 나가야 함. 상대방 진영을 통해 나가는 경우 파울)
- 상대편 선수가 던진 공을 노 바운드로 잡았을 경우 공격권을 가짐
- 경기 중 볼이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볼 데드’ 라고 함.
어떠한 경우도 마지막에 맞은 선수의 반대팀이 공의 소유권을 가짐.
- 공격자는 머리높이로 공격해서는 안되며 맞았을 경우라도 아웃 되지 않음. 그리고 공격권도 빼앗김. (단, 허리 아래, 공격을 피하려고 하다가 맞은 경우는 제외)
- 내야에서 내야, 외야에서 외야끼리 패스 할 수 없음. (더블 패스 파울)
- 선을 밟는 경우 파울, 외야수는 외야코트 밖을 벗어나 패스, 공격을 할 수 없음.
- 공을 잡은 선수는 5초 내 공을 처리해야 함(5초룰)
- 패스는 3번까지만 허용되며, 4번째는 반드시 공격을 해야 함.(포 패스 파울)
- 상대 팀 진영의 바닥(내, 외야)에 구르는 공을 가져오면 안 됨.(홀딩 파울)
단, 상대 팀 진영의 바닥(내, 외야)이 아닌 공중에 뜬(허리 이상) 공은 가져와도 됨
- 상대팀 선수를 공으로 맞춰 아웃시키는 것을 득점으로 함.
- 상대팀이 던진 공을 받다가 2명이 이상의 선수가 아웃될 경우 최초 1명의 선수만 아웃됨. (더블 아웃 미적용, 교육적 가치, 연맹에서는 의견 조율중)
- 볼 아웃이나 파울 등 심판의 경기 중지 명령 후 다시 경기를 시작할 때는 두 손으로 공을 잡고 머리 위로 들어야 함.
- 경기 중 선수의 교체는 미리 제출 된 명단 안에서만 됨. 부상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트가 마무리 되고 난 다음 됨. 주심에게 말하고 난 다음 경기장 중앙선에서만 입장할 수 있음.
- 경기 종료 후 마무리 인사
7. 경기의 파울(공격권이 상대팀으로 넘어감)
- 오버라인(라인 을 밟거나 넘을 경우)
- 포 패스 (3회 패스 후 4회째 공격을 하지 않은 경우)
- 더블패스 (내야에서 내야, 외야에서 외야로 패스 할 경우)
- 홀딩 (상대편의 내, 외야에 바운드 된 공을 가져 온 경우)
- 헤드 샷 (머리, 얼굴을 맞힌 경우)
- 5초룰 (5초안에 공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8. 동점일 경우
- 우선순위: ① 총 득점 ② 3분 연장전
9. 심판
- 심판 구성은 주심 1인, 부심 1인, 선심 2-4명으로 구성됨. 기록원 1인도 배치.
- 주심이 경기의 주도권을 갖고 운영하고 부심이 보좌하며, 선심은 홀딩, 오버라인, 원터치, 노터치 등을 판단함.
◆ 경기장 규격
초등부 경기장

중등부, 고등부 경기장
장
[출처] 피구 경기 규칙(스포츠클럽 대회, 초등 기준)|작성자 angelang
매번 피구경기하는 모습만 보았는데 오늘은 경기규칙을 적어볼게요.
피구 경기 코트 모습입니다. 성인부의 경우 피구 경기의 한 팀의 인원은 8명입니다.
외야 1명, 내야 7명으로 경기를 시작합니다. 시작은 농구와 비슷하게 점프볼로 시작합니다.
경기는 의외로 간단해요. 내야에 있는 상대편을 피구공으로 맞추는 경기입니다.
보통 3분 또는 5분으로 3세트 중 2세트를 먼저 이기면 끝이 납니다.
성인부 경기의 피구공은 천으로 되어 있어요. 바람 빵빵하게 넣은 공입니다.
자세한 피구경기 규칙을 알아볼게요.
1. 공격수(공을잡은편)가 공격할 때 수비수 머리위로 공격할 경우, 아웃이 아닙니다.
단, 수비수가 피하면서 숙여서 머리를 맞는 경우는 아웃으로 인정됩니다.
2. 공을 발로 차는 경우에는 반칙으로, 공격권이 상대팀에게 넘어갑니다.
3. 공을 바닥에 튕기는 행위는 반칙입니다.
4. 공격수가 공격시 공이 라인 밖으로 나간 경우에는 상대팀 공이 됩니다.
단, 공격수가 공격을 해서 수비수를 맞고 나가는 경우에는 공격수의 공격이 계속됩니다.
5. 아웃된 공의 경우에는 공격하는 팀에서 공을 머리위로 들어올려서 심판의 호루라기 소리가
있을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심판의 신호가 떨어지면, 경기가 시작합니다.
6. 외야에서 외야로 패스는 반칙입니다. 공은 내야 또는 외야에서 외야 또는 내야로 패스해야합니다.
7. 공격수가 공을 5초이상 가지고 있으면 반칙으로 공격권이 상대편으로 넘어갑니다.
8. 패스를 4번이상하면 반칙입니다. 패스는 하나, 둘, 세번 까지 허용되며, 네번째는 공격이
이루어져야합니다.
9. 내야에서 수비수할때 공이 흘렀을 경우, 공을 잡은 수비수가 같은편 다른사람에게
공을 넘겨 주어서는 안됩니다. 잡은 사람이 공격을 해야합니다.
10. 수비수가 공격수의 공을 맞고 아웃된 경우, 공은 그자리에 두고 경기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외야로 이동해야 합니다.
'자료실 > 학습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비공개 대상 정보의 종류) (0) | 2018.11.28 |
---|---|
새해 계획은 괴물 투수 오타니의 ‘만다라트’ 따라잡기로 (0) | 2018.05.14 |
티볼의 경기규칙 (0) | 2017.10.18 |
배구 서브의 종류 및 특성 (0) | 2016.04.18 |
우리말 유래 100가지.. (0) | 2016.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