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학습 자료

고려 연대표

야생초요 2011. 9. 9. 08:24

고 려 연 대 표

 


 

918

 왕건 즉위, 고려 건국, 연호 천수

919

 도읍 철원에서 송악으로 옮김

920

 신라, 고려에 사신 보냄

922

 명주 장군 순식 고려에 투항

925

 후백제, 신라의 20여 성 점령 발해, 신덕 등 500여명 고려에 투항

927

 최치원, [계원필경] 저술 견훤, 금성에 침입, 경순왕 옹립

930

 울릉도, 고려에 공물 바침

931

 왕건, 신라의 금성 방문

932

 후백제의 주사 예성강 부근 공격 고려, 후당에 사신 보냄

934

 발해세자 대광현, 고려에 투항

935

 후백제 신검, 견훤 유폐하고 왕 즉위 경순왕 고려에 항복

936

 신검, 일리천에서 고려에 대패 왕건, [정계1권],[계백료서] 8편

 반포

938

           탐라국이 고려에 조공

940

 경주를 대도독부로 함 역분전제를 정함

943

 혜종 즉위

945

 정종 즉위 왕규, 박술희 죽임

946

 대사원에 불명경보, 광학보 둠

947

 서경에 왕성 쌓음 30만의 광군을 두고 거란 대비

949

 광종의 즉위 주현의 세공액을 정함

950

 광덕이란 연호를 사용

951

 성남에 봉은사 창건(태조 원당)

952

 후주에 사신을 보냄

956

 노비 안검법 실시

958

 과거제도 실시

960

 백관의 공복을 정함

963

 제위보를 둠

973

 균여대사, [보현십원가] 지음

977

 공음전시를 정함

981

 팔관회의 잡기를 폐지

982

 백관의 명호를 고침

982

 최승로, 시무 28조를 올림

983

 12목 설치, 3성 6부 7시를 정함

984

 군인의 복색을 정함

986

 흑창을 의창으로 고쳐 실시

987

 노비 환천법 제정 12목에 경학박사, 의학박사 1명씩 둠

989

 동북, 서북면에 병마사를 둠

990

 송의 무악 전래, 서경에 분사를 설치 서경에 수서원 세움

991

 중추원 설립

992

 국자감 창립

993

 거란, 고려에 침입

995

 6부 상서의 칭호 정함

996

 금속화폐 철전 주조

997

 목종 즉위

998

 백관 및 군인 전시과 개정

1002

 개경에 6위의 군영을 지음

1004

 과거법 개정

1006

 식량이 떨어진 자에게 곡식을 지급

1007

 다라니경판 찍어서 냄 월정사 8각 9층탑 건립

1009

 서북 병마사 강조, 목종을 폐하고 대량원군 순 현종으로 즉위

1010

 강조, 행영도통사로 통주에서 30만 대군으로 거란에 대비

1010

 거란 2차 침입 개시

1011

 거란군 개경에 침입

1011

 [초조대장경] 조판 시작

1013

 거란 강동6주 침입. [국사] 편찬 시작 30결 이상 소유토지 세액 

 정함

1018

 4도호 8목의 지방제 개정 거란 소배압 등 10만 침입

1019

 강감찬의 귀주대첩

1021

 사원에서의 술 제조 금지

1024

 죽은 군인의 미망인에게 구분전 지급

1025

 대식국인 100명 공물을 바침

1031

 국자감시 신설

1032

 [7대 실록] 편찬

1033

 천리장성 축조 개시

1034

 정종 즉위

1036

 모든 관리에게 녹패를 줌

1040

 도량형 통일

1042

 국자감의 학생중 나이가 많고 재능이 없는 자를 광군에 보충

1044

 천리장성 완성

1047

 구분전 제정

1049

 양반의 공음전시를 정함

1050

 동북면 병마사,  해적을 추자도에서 대파

1054

 전품 3등법을 정함

1058

 [황제 내경]등의 의서 간행

1059

 서북면 제주에 양전 실시

1061

 내사문하성을 중서문하성으로 고침

1062

 개성부 다시 설치

1063

 거란이 대장경을 보내옴

1065

 흥왕사 완성

1066

 3년간 전국의 도살을 금지케 함

1072

 예복제도를 정함

1075

 혁련정,[균여전]을 지음

1076

 양반전시과를 경정

1079

 송, 의관과 약재를 보내옴

1080

 문정 등 기병 3만 여진 정벌

1082

 일본의 대마도 사신 입국

1083

 군신에게 녹패를 줌

1085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 건립
           통도사 주위에 국장생표 세움

1086

 흥왕사에 교장도감 설치

1087

 [초조대장경] 간행(흥왕사)

1090

 의천, [신편제종교장총록] 편수

1095

 중추원을 추밀원으로 고침

1096

 의천, 속장경을 완성, 부인사에 보관

1097

 의천, [ 대각국사문집] 지음

1101

 국자감에 서적포를 둠
           처음으로 은병 사용

1102

 해동통보 15000관 주조

1104

 별무반, 항마군 조직

1107

 윤관, 여진 격파. 6성 축조

1108

 윤관, 함경도 북부에 9성 축조

1109

 9성을 돌려줌

1112

 혜민국 설치

1119

 국학에 양현고 설치

1120

 왕, 팔관회에서 [도이장가] 지음

1122

 [예종실록] 찬수

1124

 [고려도경] 40권을 지어 바침

1126

 이자겸의 난

1127

 척준경, 최식 등 유배

1129

 서경에 대화궁 낙성. 서적고를 둠 묘청 등 칭제건원 요청

1132

 임원애, 묘청등을 죽일 것을 요청

1135

 묘청, 서경에 대위국 건설,  서북농민 이에 호응

1136

 서경 함락

1145

 김부식, [삼국사기] 50권 편찬

1147

 서경사람 이숙, 모반하다 사형당함

1149

 연등회 실시

1154

 과거법 개정

1158

 백주에 별궁(중흥궐) 창건

1159

 고려청자 등 도자기 성행

1162

 이천, 동주, 선주 등지 대규모 민란

1170

 정중부, 문신대학살

1171

 이고, 모역하다 사형

1172

 창주, 동주, 선주 등지 대규모 민란 지리산 단곡사에 대감국사탑

 비 건립

1173

 김보당의 난(동북면) 이의민, 의종을 죽임(경주) 조위총의 난, 서

 북민 40여명 성 민란

1175

 명종, 정중부에게 궤장을 내림

1176

 공주 명학소, 망이.망소이의 민란 서경함락, 조위총을 죽임

1177

 망이.망소이 항복 망이, 공주.아산 점령. 서경에 민란 재발(서경

 장악)

1178

 이의민, 서경봉기 진압 박제검, 서북지방의 봉기군 토벌

1179

 서경, 민란 재발 경대승,정중부와 송유인을 죽임. 도방설치

1190

 경주 지방 민란

1193

 운문의 김사미와 초전의 효심 민란

1196

 최충헌, 이의민을 죽이고 3족을 멸함 봉사 10조 올림

1197

 신종 즉위 임춘, [공방전],[국순전] 지음

1198

 만적, 노비폭동 계획 실패

1199

 명주, 경주에서 민란

1202

 경주, 운문, 울진 연합 민란

1204

 희종 즉위

1205

 최충헌에게 내장전 100결 내림

1208

 교정도감 설치

1212

 최충헌의 흥녕부를 진강부로 함

1213

 고종 즉위

1215

 각훈, [해동고승전] 지음

1216

 김취려, 연주에서 거란군 격파

1217

 흥왕사 승도, 최충헌 시해 시도

1219

 조충, 김취려 강동성 거란 격퇴

1221

 최우, 진강후로 봉해짐

1223

 왜, 금주에 침입

1225

 저고여, 압록강 연안서 피살 최우, 사저에 정방 설치

1226

 왜, 경상도 연안 침입

1231

 살례탑의 몽고군 1차 침입

1232

 다루가치 설치, 강화 천도 몽고군 2차 침입, 김윤후의 활약 초조대

 장경 불타버림

1234

 금속 활자로 [상정고금예문] 인쇄

1235

 몽고군 3차 침입

1236

 대장경 조판에 착수, 몽고군 각지 둔전

1237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지음 부인사 소장의 대장경 불에 탐

1239

 몽도, 고려왕의 친조를 요구

1243

 지방에 순문사와 권농사 파견

1247

 몽고군 제 4차 침입

1249

 몽고, 고려왕의 출륙친조 요구

1253

 삼별초, 금주 전주에서 몽고 격파

1254

 몽고 차라대군 5차 침입

1255

 최자의 [보한집] 이룩됨

1257

 몽고 차라대군 6차 침입 최항 죽음, 최의 정권계승

1258

 김준, 유경등 최의를 죽임 화주에 쌍성총관부를 둠

1259

 강화도의 내, 외성을 헐음

1260

 태자 몽고에서 귀국하여 즉위 이인로의 [파한집] 간행

1265

 남쪽해안지방에 왜구 침입

1269

 전민변정도감을 둠

1270

 서경에 동녕부를 둠 배중손 등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 진도로 들어

 감

1271

 김방경, 몽고세력과 진도 함락

1272

 세자, 변발.호복하고 돌아옴

1273

 김방경과 원의 장수 탐라 공격

1274

 결혼도감을 둠.  김방경,혼도와 일본정벌 실패

1278

 녹과전을 다시 지급

1281

 몽고, 고려군을 강제 동원하여  일본정벌

1285

 일연, [삼국유사] 지음

1287

 이승휴, [제왕운기] 지음

1288

 전민변정도감 둠

1298

 정방 폐지. 관제를 고침

1301

 관명이 원과 같은 것은 모두 개칭

1314

 5도 양전 실시

1316

 관리와 승려의 상업행위를 금함

1318

 제주도 민란 일어남. 사심관 폐지

1330

 안축, [관동별곡].[죽계별곡] 지음

1342

 이제현, [역옹패설] 지음

1348

 경천사 다층석탑 지어짐

1350

 왜의 침략 격화, 고성,거제,합포 등에 침략

1351

 왜선 100여 척, 경기도 노략질

1352

 변발금지. 예의추정도감 둠

1354

 왜구 전라도 조운선을 노략질

1356

 정동행성 폐지

1359

 홍건적, 서경 함락

1363

 문익점. 원에서 목화씨룰 가져옴

1367

 호복제를 폐함, 국학 다시 설치

1372

 제주도에 민란

1377

 화통도감 설치

1380

 이성계, 운봉에서 왜구 격파

1387

 원복을 폐하고 명제에 따름

1388

 최영 요동정벌. 이성계 위화도회군으로 정권 장악

1389

 이성계, 우왕과 창왕 죽임. 관제 개혁

1390

 토지문서 불태움

1391

 과전법 제정

1392

 이성계 왕으로 추대


 ○ 출처 : 기라성

'자료실 > 학습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다운 우리 옛말 모음   (0) 2011.09.23
개정된 이름 영문 표기표   (0) 2011.09.14
고려시대 관청명칭 및 해설   (0) 2011.09.07
곤충도감 - 곤충별 링크 클릭.  (0) 2011.08.31
궁궐의 꽃 - 궁녀   (0) 2011.07.18